A/D 변환기 내부의 구성도를 살펴보면 A/D변환기의 동작을 위해 A/D 변환기 멀티플렉서 선택 레지스터(ADMUX), A/D 변환기 제어 및 상태 레지스터(ADCSRA)와 A/D 변환기 데이터 레지스터(ADCH, ADCL)가 존재한다.

ADMUX 레지스터는 A/D 변환기의 아날로그 입력 채널을 선택하는 기능, 기준 전압의 선택과 변환 결과 레지스터의 데이터 저장 형식을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의 비트 구성은 다음과 같다.

7(비트)

6

5

4

3

2

1

0

REFS1

REFS0

ADLAR

MUX4

MUX3

MUX2

MUX1

MUX0

0(초기값)

0

0

0

0

0

0

0

▶비트 7~6 : REFS0~1(기준 전압 선택 비트, Reference Selection Bits)

이 두 비트는 표와 같이 A/D변환에 사용되는 기준 전압을 선택한다.

RES1

RES0

기준전압

0

0

 AREF 단자에 공급되는 전압 이용

0

1

 AVCC 단자 전압이 이용되며, AREF 단자와 GND 사이를 콘덴서  (0.1μF)로 접속

1

0

 -

1

1

 내부 2.56V를 이용하며, AREF 단자와 GND 사이를 콘덴서로 접속

▶비트 5 : ADLAR( ADC 좌측 보정 결과, ADC Left Adjust Result )

이 비트는 A/D 변환의 결과를 16비트 ADC 데이터 레지스터에 저장할 때의 형식을 지정한다. ADCH:ADCL에 저장하는 형식을 지정한다.

ADLAR = 1 : 변환된 10비트 데이터가 좌측부터 저장된다.

ADLAR = 0 : 변환된 10비트 데이터가 우측부터 저장된다.

▶비트4~0 : MUX0~4( Analog Channel and Gain Selection Bit)

이 비트들은 ADC의 아날로그 입력 채널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비트로, 비트의 설정에 따라 표와 같이 아날로그 입력 채널이 선택된다. 표를 살펴보면 아날로그 입력은 크게 8가지 단극성입력과 22가지 차동 입력으로 구분되고, 차동입력은 다시 네가지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① ADC0~ADC1 단자 사이의 차동 입력( 이득 10 또는 200 )

② ADC3~ADC2 단자 사이의 차동 입력( 이득 10 또는 200 )

③ ADC1 단자를 기준으로 한 8가지의 차동 입력

④ ADC2 단자를 기준으로 한 6가지의 차동 입력

(표)

Posted by Aloha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