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플랫폼[ cross platform ]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등이 다른 환경의 OS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 예를 들면 1개 기종의 하드웨어가 워크스테이션 또는 PC에서 사용되거나, 유닉스 시스템이나 윈도즈, 맥 OS 등의 복수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소프트웨어의 크로스 플랫폼의 대표적인 예로는 자바로 작성한 프로그램이 있는데, 1회 작성한 프로그램은 "바이트 코드"라는 중간 코드를 생성하고, 이 코드의 형식에 컴파일되어 다른 복수의 환경에서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에 관해서도 크로스 플랫폼의 예는 많다.

[네이버 지식백과] 크로스 플랫폼 [cross platform]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유닉스 시스템[ UNIX system ]

미국 벨 연구소에서 만든 소형 컴퓨터운영 체계.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명령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구애받지 않는 파일 시스템을 보유함으로써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설계된 운영 체계 겸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는 운영 체계를 간소화하여 최소의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실제의 복잡한 문제들을 사용자 프로그램이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고, 규모가 큰 프로젝트라도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고 기존의 작은 프로그램을 조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또 다양한 기능들을 처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보편성이 있다. ㉠파일, 기기, 프로세스 간의 메시지 버퍼 장치의 입력에 똑같은 시스템 호출이 사용되고, ㉡파일 목록, 기기들에 대해 같은 명명, 가명, 접근 보호 방식을 적용하며, ㉢소프트웨어 끼어들기와 프로세서의 트랩에 똑같은 처리 방식이 사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닉스 시스템 [UNIX system]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리눅스[ Linux ]

요약
1991년 11월에 리누스 토르발즈(Linus Torvalds)가 버전 0.02을 공개한 유닉스 기반 개인컴퓨터용 공개 운영체제이다. 유닉스와 거의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무료라는 장점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자 및 학교 등을 중심으로 급속히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1989년 핀란드 헬싱키대학에 재학중이던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가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한 공개용 오퍼레이팅시스템(OS)으로, 1991년 11월 버전 0.02이 일반에 공개되면서 확대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유닉스(Unix)가 중대형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리눅스는 워크스테이션이나 개인용 컴퓨터에서 주로 활용한다.
리눅스는 소스 코드를 완전 무료로 공개하여 전세계적으로 약 5백만 명이 넘는 프로그램 개발자 그룹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들에 의해 단일 운영체제의 독점이 아닌 다수를 위한 공개라는 원칙하에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고 있다.
파일구성이나 시스템기능의 일부는 유닉스를 기반으로 하면서, 핵심 커널 부분은 유닉스와 다르게 작성되어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TCP/IP를 강력하게 지원하는 등 네트워킹에 특히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유닉스와 거의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무료라는 장점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자 및 학교 등을 중심으로 급속히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리눅스는 각종 주변기기에 따라 혹은 사용하는 시스템의 특성에 맞게 소스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변종이 출현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리눅스 [Linux] (두산백과)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

요약
개인이나 적은 인원수의 사람들이 특수한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고성능의 컴퓨터.

미니컴퓨터의 처리 능력에 버금가는 고성능의 컴퓨터로서 외형은 개인용 컴퓨터와 비슷하나 운영체제로 보통 유닉스 계열을 사용하며 윈도우 NT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명령어가 간단하고 적은 RISC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을 사용하는데, 이는 복잡한 명령어를 없앰으로서 프로세서 속도를 증가시켜 고속연산을 하기 위해서이다. 일반 컴퓨터보다 성능이 월등히 높고 처리속도가 빠른 반면에 가격은 비싼 편이다.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으로 쓰이기도 하고, 고화질의 그래픽 영상을 생성하거나 일반 사무작업을 처리하는 단독 시스템으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가 개발됨에 따라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고속연산을 요하는 그래픽 처리분야, 컴퓨터 설계(CAD), 시뮬레이션 분야에 활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두산백과)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요약
인터넷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을 가진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기종이 서로 다른 컴퓨터 시스템을 서로 연결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으로서 1980년 초 미국 국방부가 제정하였다. 유닉스(UNIX) 운영체제 내에 채용되었으며 인터넷에도 사용되었고, 유닉스와 인터넷 사용이 늘어나면서 TCP-IP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표준이 되었다.
미국 국방부에서 구축한 전산망인 알파넷(ARPAT)에서 개발된 프로토콜으로서 1983년 1월 알파넷에서 NCP 대신에 이 표준을 사용하였다. 그 후에 알파넷에서 Milnet를 독립시키고, 이 두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무렵 미국 방위통신청(DCA;Defense Communication Agency)이 모든 알파넷을 이용하는 호스트 컴퓨터TCP-IP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 시초가 되었다.
TCP-IP의 기본 서비스에는 원격 로그인, 파일전송 및 전자우편이 있다. 이 밖에도 TCP-IP에 의해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는 LAN 노드(node)의 물리적인 주소를 살핀다든지, 기기의 영문자를 숫자명으로 매핑한다든지, 네트워크를 관리한다든지 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독립적인 개방형 구조로서 이들 일련의 프로토콜은 호스트의 하드웨어·운영체제·접속매체의 차이와 관계없이 동작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두산백과)

 

Posted by Aloha12
,